본문 바로가기
생각, 의견, 팁

레위기 번제, 소제, 화목제, 속죄제, 속건제 뜻?

by 민아리 2025. 2. 19.
반응형

이걸 읽을 필요가 있을까.. 읽다 보면 의문이 드는 레위기.

레위기는 목사님들도 거의 설교하지 않는 것 같다.

몇 번을 읽는다 한들 기억하기 힘든 레위기지만 각 제사 이름의 뜻은 알고 싶었다.

소제? 화목제? 속건제? 한자로 번역되어 알기 쉽지 않다.

레위기에 나오는 다섯 가지 제사 형식의 의미와 특징, 목적을 알아봤다.

 

1. 번제 (燔祭, Burnt Offering)

● 의미: 하나님께 온전히 바치는 제사
● 특징: 제물을 완전히 태워서 하나님께 드림 (남은 부분 없이 전부 태움)
● 목적: 하나님께 헌신과 경배를 표현하며, 죄 사함을 구하는 의미도 있음

2. 소제 (素祭, Grain Offering)

● 의미: 곡식을 드리는 예물 ('소박하다'의 '소'와 같은 한자로 소박하게 동물이 아닌 곡물로 드리는 제사)
● 특징: 주로 고운 가루, 기름, 유향을 사용하며, 누룩과 꿀은 넣지 않음
● 목적: 하나님께 감사와 봉헌을 표현

3. 화목제 (和睦祭, Peace Offering)

● 의미: 하나님과의 교제와 감사 ('화목한 가정'이라고 말할 때 그 '화목'의 의미)
● 특징: 제물의 일부는 하나님께 드리고, 나머지는 제사장과 예배자가 함께 나눠 먹음
● 목적: 하나님과의 평화를 기념하고 공동체가 함께 나눔

4. 속죄제 (贖罪祭, Sin Offering)

● 의미: 죄를 사함받기 위한 제사
● 특징: 죄를 지은 사람이 제물을 드리고, 제사장이 피를 성소에 뿌림
● 목적: 개인이나 공동체의 죄를 사함받음

5. 속건제 (贖愆祭, Guilt Offering)

● 의미: 부정한 행동이나 손해를 끼친 죄를 해결하기 위한 제사 ('건'이라는 한자는 '허물'이라는 뜻)
● 특징: 배상의 의미가 포함되며, 제사를 드린 후 피해를 보상해야 함
● 목적: 하나님과 이웃에게 진 죄의 책임을 회복


이 제사들은 구약 시대에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께 나아가는 방법이었지만, 신약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희생이 이 모든 제사를 완성하셨다고 해석돼. 

 

화목제, 속건제 뜻

 

◈ 같이 보면 좋은 글

여호와 라파, 여호와 닛시, 여호와 이레, 여호와 삼마 뜻

 

여호와 라파, 여호와 닛시, 여호와 이레, 여호와 삼마 뜻

오늘 CBS 새롭게 하소서를 보다가 하나님을 부르는 네 가지 이름을 알게 되었다.여호와 이레와 여호와 삼마는 들어본 적이 있다.라파와 닛시는 처음 들어봤다. 성경을 나름 2독 했는데 모르는게

minalee.tistory.com

쉐마(shema) 뜻, 쉐마장은 뭐야?

 

쉐마(shema) 뜻, 쉐마장은 뭐야?

쉐마(Shema)는 히브리어로 '들으라'라는 뜻이며, 성경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지는 구절입니다. 이는 신명기 6장 4~9절에 나오는 유대교의 가장 중요한 신앙 고백 중 하나로, 유대인들이 매일 아침과

minalee.tistory.com

 

 

반응형